lnb영역
경영
고객센터
02-6959-5779
ribbon@kitanet.or.kr상담가능시간 : 평일 09:00~18:00
토/일요일 및 공휴일 휴무

컨텐츠 내용
- 수강신청
- 과정정보
주니어 PM을 위한 서비스 기획 올인원 클래스 Part 1 - 서비스 기획 : 기초 다지기

과정소개
주니어 PM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며, 현직자를 대상으로 실무 중심의 학습 방식을 제공합니다. 또한, 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민과 해결책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빠르게 현장에 적응하고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돕는 강의 입니다. 이 과정은 주니어 PM이 전문성과 경험을 향상시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을 수 있게 지원합니다.
▶교육대상
1. 시니어 PM으로 직무 영향력을 넓히고 싶은 주니어 PM
2. PM으로 직무 전환을 고려 중인 이직 준비생
3. 주니어 PM으로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은 취업 준비생
▶교육내용
1.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1
2.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2
3.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3
4. Product Manager의 여러 구분
5. 역할, 고객, 업무 변화에 따른 기대와 역량
6. Product Manager의 도메인 이해하기
7. Product Manager의 Career Path
8. 시니어 PM으로 변화에 따른 기대와 역량1
9. 시니어 PM으로 변화에 따른 기대와 역량2
10. 역량을 키우는 팁 - 변화에 적응하고 전문가 되는 법
11. PM의 업무 범위와 제품 수명 주기별 업무 루틴
12. 디자이너, 개발자, 데이터 분석가와의 협업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1
13. 디자이너, 개발자, 데이터 분석가와의 협업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2
14. 디자이너 및 개발자, 데이터 분석가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문서화 및 회의 방법론
15. 회의 목적에 따른 진행 방법1
16. 회의 목적에 따른 진행 방법2
17. 고객을 만족시킨 제품 기획 사례
18. 문제 인식과 목표 수립의 선순환 구조 이해
19. 문제 인식과 해결을 위한 방법론1
20. 문제 인식과 해결을 위한 방법론2
21. 문제 인식과 해결을 위한 방법론3
22. 목표 수립을 위한 방법론
23. 데이터 기반 서비스 기획에서의 지표1
24. 데이터 기반 서비스 기획에서의 지표2
25. 데이터 기반 서비스 기획 사례
26. PM이 작성해야 하는 서비스 산출물의 이해1
27. PM이 작성해야 하는 서비스 산출물의 이해2
28.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PRD)작성 예시와 작성 방법에 대한 이해
29. 화면 흐름도(Flowchart)작성 예시와 작성 방법에 대한 이해
30. 와이어프레임(Wireframe)과 스토리보드(Storyboard)를 활용한 효과적인 UX_UI 디자인
31. 기타 문서 작업의 이해1
32. 기타 문서 작업의 이해2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학습목표
2. PM 직무에 최적화된 개발 지식, 데이터 분석 역량을 기를 수 있다.
3. PM의 고민에 대해 이해하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고의 유연성을 기를 수 있다.
차시 | 강의명 |
---|---|
1차시 | 1.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1 |
2차시 | 2.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2 |
3차시 | 3. Product Manager 직무 이해하기3 |
4차시 | 4. Product Manager의 여러 구분 |
5차시 | 5. 역할, 고객, 업무 변화에 따른 기대와 역량 |
6차시 | 6. Product Manager의 도메인 이해하기 |
7차시 | 7. Product Manager의 Career Path |
8차시 | 8. 시니어 PM으로 변화에 따른 기대와 역량1 |
9차시 | 9. 시니어 PM으로 변화에 따른 기대와 역량2 |
10차시 | 10. 역량을 키우는 팁 - 변화에 적응하고 전문가 되는 법 |
11차시 | 11. PM의 업무 범위와 제품 수명 주기별 업무 루틴 |
12차시 | 12. 디자이너, 개발자, 데이터 분석가와의 협업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1 |
13차시 | 13. 디자이너, 개발자, 데이터 분석가와의 협업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2 |
14차시 | 14. 디자이너 및 개발자, 데이터 분석가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문서화 및 회의 방법론 |
15차시 | 15. 회의 목적에 따른 진행 방법1 |
16차시 | 16. 회의 목적에 따른 진행 방법2 |
17차시 | 17. 고객을 만족시킨 제품 기획 사례 |
18차시 | 18. 문제 인식과 목표 수립의 선순환 구조 이해 |
19차시 | 19. 문제 인식과 해결을 위한 방법론1 |
20차시 | 20. 문제 인식과 해결을 위한 방법론2 |
21차시 | 21. 문제 인식과 해결을 위한 방법론3 |
22차시 | 22. 목표 수립을 위한 방법론 |
23차시 | 23. 데이터 기반 서비스 기획에서의 지표1 |
24차시 | 24. 데이터 기반 서비스 기획에서의 지표2 |
25차시 | 25. 데이터 기반 서비스 기획 사례 |
26차시 | 26. PM이 작성해야 하는 서비스 산출물의 이해1 |
27차시 | 27. PM이 작성해야 하는 서비스 산출물의 이해2 |
28차시 | 28. 제품 요구사항 정의서(PRD)작성 예시와 작성 방법에 대한 이해 |
29차시 | 29. 화면 흐름도(Flowchart)작성 예시와 작성 방법에 대한 이해 |
30차시 | 30. 와이어프레임(Wireframe)과 스토리보드(Storyboard)를 활용한 효과적인 UX_UI 디자인 |
31차시 | 31. 기타 문서 작업의 이해1 |
32차시 | 32. 기타 문서 작업의 이해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