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과정은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실기를 대비하는데 필수적인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경보설비와 감지기, 소화설비, 전기 회로 및 제어기구 등에 대한 이론과 실무적인 내용을 다루며, 실기 시험에 필요한 다양한 주제들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각 항목마다 설치기준부터 계통도, 평면도 등 실무에 필요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어 학습자들이 실전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소방시설의 설계, 운영, 감리 등 전반적인 영역을 포괄하고 있어 산업현장에서 소방 안전에 관련된 전문 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적합한 과정입니다.
▶교육대상
관련학과(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소방안전관리과, 소방방재과, 건축설비과, 건축설비소방과, 건축소방안전과, 기계설계과) 전공자
기술자격 소지자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산업기사, 기능사+실무경력 1년,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관련학과 대졸(졸업예정자), 3년재 전문대졸+1년, 2년제 전문대졸+2년,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2년,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2년
소방설비에 관심있는 학습자
소방설비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학습자
5. 소방설비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학습자
▶교육내용
1. 경보설비 및 감지기
2. 열전대식
3. 이온화식 연기감지기
4. 연기감지기의 설치기준
5.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6. 계단에 연기감지기(2종)를 설치할 경우 설치개수
7. P형 발신기의 구성요소
8.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 감지기
9. 누전경보기
10. 가스누설경보기 절연저항시험
11. 누전경보기의 수신기 내부구조의 신호전달방향
12. 유도등 및 유도표지
13. 유도표지의 크기
14. 유도등의 전원
15. 비상콘센트설비
16.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설치기준
17. 부동충전방식
18. 부동충전방식인 충전기의 2차출력
19. 축전지설비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
20. V결선
21. 사이렌의 저항
22. 전선관의 종류
23. 스프링클러 펌프전동기의 용량
24. 동기속도
25. 수신기
26.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심벌
27.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설정기준
28. 일제경보방식의 결선도
29.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입상전선의 최소가닥수 산정
30. 발화층 및 직상 4개층 우선경보방식
31. 계통도
3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결선도관련 문제풀이
3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계통도관련 문제풀이1
34.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계통도관련 문제풀이2
35.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평면도관련 문제풀이
36. 옥내 및 옥외 소화전설비
37.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38.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계통도
39.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평면도
40. 유수검지장치
41. 4각박스 사용처
42. 감지기의 부착높이에 따른 바닥면적
43. 이산화탄소 및 할론 소화설비
44. 할론소화설비
45. 패키지시스템(package system)
46. 종단저항이 패키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47. 전선의 용도에 관한 명칭
48. 할론수동조작함과 할론수신반
49. 감지기의 종류
50. 감지기와 감지기간의 배선
51. 분말ㆍ제연 및 배연창설비
52. 제연설비
53. 솔레노이드댐퍼
54. 밀폐형의 동작순서
55. 상가제연설비
56. 스모크타워 제연설비
57. Moter 방식
58. 전실 급배기댐퍼
59. 기동, 복구 Type Damper를 사용할 경우
60. P형 수신기와 R형 수신기의 비교
61. 시퀀스제어
62. 시퀀스회로와 논리회로
63. NAND회로
64. 배선용 차단기의 특징
65. 스위칭회로(switching circuit)
66. 릴레이 접점회로
67. 무접점 논리회로
68. 릴레이회로(유접점회로)
69. 전동기 운전회로
70. 양수설비
71. 플로트 스위치에 의한 펌프모터의 레벨제어
72. 정ㆍ역전 회로
73. 시퀸스제어의 기본 심벌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