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직장인들은 왜 ‘조용한 사직’을 결심할까? 팬데믹과 엔데믹을 겪고, AI와 챗GPT의 혁신을 겪으면서 우리의 사고와 관계 등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제는 코로나 이전의 조직문화에 대한 한계와 함께 새로운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조직문화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시도와 변화를 위해 HR 실무자이자 현업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고민을 이해하고, 그 해답과 가이드를 담았습니다.
▶교육대상
1. 팀원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싶은 팀장
2. 직원들의 근속을 이끌고 싶은 조직문화 담당자
3. 오래 일하는 직원을 뽑고 싶은 인사 전문 담당자
▶주요교육내용
1. 조직문화가 브랜드가 되는 시대
2. 조직문화는 복지일까? 조직문화에 대한 오해
3. 조직문화의 핵심, MVC 수립하기
4. 사례로 보는 조직문화의 Keyman 리더의 역할
5. 성공적인 조직문화를 위한 핵심요소
6. 우리 회사는 과연 어떻게 기억되고 있을까, 채용브랜딩!
7. 채용 프로세스의 이해와 운영전략
8. 면접관을 위한 면접의 기술
9. 면접에서 인재를 알아보는 방법, 사전과제 PT
10. 작고 귀여운 스타트업의 성장기
11. 소규모 채용은 대규모 채용과 무엇이 달라야 할까?
12. 면접관이 되어도, 무엇을 물어봐야 할지 모르겠다면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