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과정은 방재시설의 특성과 기능을 분석하고, 재해 유형별 피해 원인과 방재 계획 수립 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방재시설 유지관리, 자연재해 저감 대책 수립 등 실무에서 필수적인 능력을 배양하며, 재해 복구사업과 방재사업의 타당성 평가 및 비용 산정 등의 내용을 실습을 통해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교육대상
1. 방재기사 실기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2. 방재 시설 및 재난 관리 실무에 대한 실질적 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는 학습자
3. 재난 예방 및 대응, 복구 계획 수립에 관심이 있는 방재 관련 종사자
▶주요교육내용
1. 제1편 방재시설 특성 분석 (p.23~)
2. 2장 방재시설물 방재기능 및 적용공법 파악하기 (p.37~)
3. 제1장 재해 유형별 피해 원인 분석하기 (p.66~)
4. 제3장 재해 유형별 방재시설계획 수립하기 (p.91~)
5. 제1장 방재시설 유지관리계획 수립하기 (p.134~)
6. 제2장 방재시설 상시 관리하기 (p.146~)
7. 제1장 재해영향 저감대책 수립하기 (p.182~)
8. 제2장 자연재해 저감대책 수립하기 (p.207~)
9. 제3장 우수유출 저감대책 수립하기 (p.235~)
10. 제4장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대책 수립하기 (p.255~)
11. 제5장 소하천 정비대책 수립하기 (p.269~)
12. 4절 제방을 포함한 소하천의 항목별 세부계획 수립 (p.286~)
13. 제5편 재난예방 및 대비대책 기획 (p.328~)
14. 제6편 재난대응 및 복구대책 기획 (p.350~)
15. 제7편 재해 유형 구분 및 취약성 분석·평가 (p.376~)
16. 제8편 재해위험 및 복구사업 분석·평가 (p.406~)
17. 3절 사면재해 위험요인 분석·평가 (p.432~)
18. 6절 바람재해 위험요인 분석·평가 (p.450~)
19. 제2장 재해복구사업 분석·평가하기 (p.470~)
20. 제9편 재난피해액 및 방재사업비 산정 (p.508~)
21. 제10편 방재사업 타당성 및 투자우선순위 결정 (p.524~)
22.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령]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