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재료나 부품, 산업용 구조물에 발생하는 내부 결함의 종류와 문제점들을 이해하고 이로 인한 제품의 품질평가나 신뢰성, 안전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는 비파괴 검사기술의 활용사례와 비파괴검사에서 사용되는 주요 비파괴검사기술과 차이점을 학습하는 과정
▶교육특징
* 각 비파괴검사기술이 적용되는 분야와 장단점 파악
▶교육대상
- 비파괴 담당자, 용접 담당자, 설비보전관리 담당자, 공무분야 담당자, 기계설비 담당자, 설비설계업체, 시험평가 및 연구개발부서, 품질보증부서 실무자 등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비파괴기술 기본 84분
2. 2. 초음파 결함탐상(1) 50분
3. 3. 초음파 결함탐상(2) 48분
4. 4. 결함판독기술 49분
5. 5. 위상배열 초음파 28분
6. 6. 비파괴 검사의 개요 (1) 26분
7. 7. 비파괴 검사의 개요 (2) 26분
8. 8. 비파괴 검사의 개요 (3) 25분
9. 9. 방사선 투과 검사 (1) 21분
10. 10. 방사선 투과 검사 (2) 29분
11. 11. 방사선 투과 검사 (3) 29분
12. 12. 방사선 투과 검사 (4) 29분
13. 13. 방사선 투과 검사 (5) 24분
14. 14. 방사선 투과 검사 (6) 29분
15. 15. 방사선 투과 검사 (7) 26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