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 등 직무를 수행할 때 유지보수, 관리, 고장 문제 해결 등에 대한 능력을 배양하도록 구성된 과정
* 전기회로 즉 도면을 보는 알기 쉽게 이해하는 방법부터 접근하고, 전자의 트랜지스터, IC회로들을 볼 수 있도록 제시
* 반도체는 전력 생산부터 사용까지 다양한 단계에서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사용단계에서는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스마트팩트리 및 자율주행자동차, 태양광, 풍력발전 등에 이르기까지 전력부품의 수요 증가와 4차혁명의 핵심부품을 파악
* 전기전자분야의 실무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필수 사항이 회로분석 능력이며, 이를 위해 각종 부품소자 특성 및 동작, 인터페이스, 설비도면 등 전반적인 전기전자 도면을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교육특징
* 이론적 지식 함양을 통한 회로의 동작 원리를 터득함으써 실무능력을 향상
*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소자와 소자들 간에 발생하는 전류와 전압의 개념을 학습하는 강좌이다. 회로를 구성하는 기본 소자인 저항과 캐패시터, 인덕터의 개념을 배우고, 회로에 적용되는 옴의 법칙을 배운다. 또한 전류법칙, 전압법칙을 통해 회로를 분석하고 설계하는 방법을 학습
▶교육대상
- 전기 전자 관련 업계의 현장 및 연구개발 종사자
- 전기 전자 분야 재직자 및 실무자
- 관련분야 비전공자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전기기초 (1) 37분
2. 전기기초 (2) 49분
3. 3. 주요 부품의 기능 (1) 27분
4. 4. 주요 부품의 기능 (2) 30분
5. 5. 주요 부품의 기능 (3) 29분
6. 6. 주요 부품의 기능 (4) 32분
7. 1. 전력반도체의 종류 및 트러블대책 (1) 28분
8. 2. 전력반도체의 종류 및 트러블대책 (2) 35분
9. 3. 전력반도체의 종류 및 트러블대책 (3) 30분
10. 4. 전력반도체의 종류 및 트러블대책 (4) 31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