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CFA는적절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문제의 근본 원인을 밝혀내는 프로세스입니다. 본 교육에서는 일시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닌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함으로써 반복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기존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방법을 강의합니다.
* 고장근본 원인 분석(RCFA)은 문제나 비효율성의 핵심을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찾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 산업 현장에서 다루고 있는 산업기계는 적기에 점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점검과 보수는 반드시 필요하며, 담당하고 관리되는 설비에 관한 동작 특성은 물론 약점을 파악하고 설비의 각종 트러블 발생 시 해결 능력을 갖춘 기술자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교육대상
- 설비 보전 관리자, 보전 기술자, 스마트팩토리 추진자, CMMS(EAM 시스템) 담당자·기획자 등
▶교육내용
* 문제 발생 메커니즘
- 설비 자산 관련 문제(불량·고장·사고) 사례
- 설비 자산의 고장 프로세스와 메커니즘
- 문제 발생 예방을 위한 시스템 설계
* 문제 발생 방어 체계(설비·인력·절차)
- 문제 발생 방어 체계-설비(신뢰성)
- 문제 발생 방어 체계-인력과 조직
- 문제 발생 방어 체계-절차와 프로세스
* RCA 프로세스(증거 수집)
- 문제 정의
- 근본 원인 분석을 위한 증거 수집(4P)
- 문제 발생 프로세스(사상 시퀀스)
- 원인과 영향 관계성(OR, AND 게이트)
* 설비 관리와 자주 보전의 중요성을 파악한다.
* 고장 제로를 위한 자주 보전의 역할을 알아본다.
* 기계 요소와 구동 장치의 보전을 배양한다.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고장과 고장결과 발생 매커니즘(1) 16분
2. 2. 고장과 고장결과 발생 매커니즘(2) 8분
3. 3. 고장 리스크관리 - FMEA(1) 18분
4. 4. 고장 리스크관리 - FMEA(2) 17분
5. 5. 고장 리스크관리 - FTA(1) 21분
6. 6. 고장 리스크관리 - FTA(2) 8분
7. 7. 고장 리스크관리 - FTA(3) 26분
8. 8. 고장 리스크관리 - FTA(4) 25분
9. 9. 고장 리스크관리 - FTA(5) 22분
10. 10. 고장 리스크관리 - FTA(6) 14분
11. 11. 고장과 사고의 방어체계(1) 21분
12. 12. 고장과 사고의 방어체계(2) 10분
13. 13. RCFA 프로세스 및 사례 14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