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관/장치/구조물에 대한 개개인의 안전 점검 능력을 향상시켜, 공장의 시설물 점검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시설물의 Reliability를 향상함으로서 공장의 안전조업에 혁신적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 열교환기 장치의 올바른 운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유지관리에 관한 재료와 부식의 문제, 검사와 수리 등에 대해 그림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
* 열전달 현상, 열교환기 구조를 그림을 많이 이용한 강의로 실제 운전되는 열교환기 설계를 예제로 선정해 설계과정을 소개하였고, 실무에 필요한 계산식을 포함해 열전달 개념 및 원리와 열교환기 설계실무 현장의 경험을 토대로 제작된 과정
▶교육특징
* 기업현장에 있어서 필수적인 배관기술을 정립
* 산업기계의 최적화 및 현장기술자의 활용 능력 배양
* 설비(Utilities)의 최적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설비기술습득
▶교육대상
- 배관장치 관리 담당자, 밸브 관리 담당자, 설비보전관리 담당자, 기계설비 담당자, 설비설계업체 등
- 공조 냉동/건축/건설분야 담당자, 열교환기 설계자, 열처리 실무자, 현장 실무자, 시설, 공정 설계, 설비 유지 관리 담당자, 기계 설계 실무자 등
- 생산, 기술, 공무, 설계, 자동화 관련 부서의 기술자 및 관리자
▶주요교육내용
* Balance of Plant(배관 : Piping)
- 배관설계 흐름
- 배관재료 선정
* 배관설계의 표준규격(Ⅰ)
- PIPING STRESS ANALYSIS
- ALLOWABLE PIPE SPAN DATASHEET
* 배관 지지장치
- 배관 Support의 분류
- 행거(Hanger)
- Restraint, Brace, 보온재
* 배관설계의 표준규격(Ⅱ)
- ASME B31.3 Refinary & Chemical Plant
- 관의 치수(SIZE)
- 배관 선택방법
* 배관 유지관리
- Plant 설비운영
- 수명관리
- 배관손상 및 수명평가 사례(Fatiue · Creep)
- 용접부(이종금속간 부식)
- Creep, Fatiue에 기인된 사고
- 피로파괴의 파면
* 열교환기 분류
* 열교환기 선정시 고려사항
* 적절한 열교환기 선정시 주요 영향인자
* 공정용 열교환기
* 전열교환기
* 히트파이프
* 열교환기 설계
* 열교환기 유지관리
* 부식, 피로, 부식피로, 마모, Shell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Balance of Plant 28분
2. 2. 배관설계의 표준규격 1-1 24분
3. 3. 배관설계의 표준규격 1-2 26분
4. 4. 배관 지지장치 28분
5. 5. 배관설계의 표준규격 2 40분
6. 6. 배관 유지관리 1 32분
7. 7. 배관 유지관리 2 22분
8. 8. 배관 유지관리 3 33분
9. 1. 열교환기 분류 및 선정 34분
10. 2. 공정용 열교환기, 전열교환기, 히트파이프 24분
11. 3. 열교환기 설계 44분
12. 4. 열교환기 유지관리(1) 32분
13. 5. 열교환기 유지관리(2) 42분
14. 6. 열교환기 유지관리(3) 24분
15. 7. 열교환기 유지관리(4) 27분
16. 8. 열교환기 유지관리(5) 22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