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전기등 설비의 점검계획을 수립하고 안전점검표를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안전점검을 수행하여 안전한 작업장을 유지∙관리할 수 있음
▶산업현장에서의 설비 고장의 원인이 되는 각종 파라메터의 이해 및 설비진단기법을 이해하고, 진단 기법을 통해 사전 고장 예측 하여 현장 설비 점검 능력 배양
▶교육대상
- 생산기술, 설비보전관리 담당자, 기계설비 담당자, 설비설계업체
- 생산, 기술, 공무, 설계, 자동화 관련 부서의 기술자 및 관리자
- 산업체 전기설비 및 안전 관리 실무능력을 함양 하고자 하는 분
▶교육내용
1. 설비보전관리이해
- 설비보전관리의 의미와 위치를 이해
- 설비보전관리의 중요성과 목적을 파악
2. 설비보전관리
- 설비보전관리개념
- 설비관리 기준에 의거하여 설비 보전계획 항목을 선정
- 설비별 최적화된 보전주기를 결정
3. 설비보전계획
- 설비관리 기준에 의거하여 설비 보전계획 항목을 선정
- 설비별 최적화된 보전주기를 결정
- 설비보전 계획서 작성
- 설비점검
4. 전기 안전
- 전기설비 사고 유형 및 현황
- 전기설비 중대재해사례
- 감전, 화재사고
- 고압, 저압 전기설비 사고
- 전기설비 사고 예방 대책
- 전기설비 안전점검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설비진단 및 보전전략(1) 27분
2. 2. 설비진단 및 보전전략(2) 15분
3. 3. 설비진단 및 보전전략(3) 28분
4. 4. 기계장치의 보전 47분
5. 5. 기계요소의 보전 33분
6. 6. 동력전달장치의 보전 32분
7. 7. 상태감시 원리 13분
8. 8. 상태감리 방법 26분
9. 9. 상태감리 활동 13분
10. 10 설비유비관리 절차와 목적 23분
11. 11. 설비점검과 정비 18분
12. 12. 설비 등급별 점검주기 결정 7분
13. 13. 전기설비 안전사고의 발생 경로 (1) 29분
14. 14. 전기설비 안전사고의 발생 경로 (2) 22분
15. 15. 전기설비 안전사고의 발생 경로 (3) 29분
16. 16. 전기설비 안전점검과 예방보전 3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