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장치에 대한 애정과 관심은 기계의 수명과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적시에 적절한 처치를 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기계의 정지, 기계 자체의 성능 저하와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조기에 폐기되는 등 경제적 시간적 손실도 헤아릴 수 없이 발생되고 있다. 관련 기계장치에 대해 학습하고 운용, 관리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교육
▶제조현장의 공압장치에 대한 구조, 명칭 및 기능, 작동원리, 운전 및 취급원리, 트러블 슈팅, 점검 능력등을 설비사용자의 입장에서 쉽게 이해하고 실무에 활동 할 수 있도록 한다.
▶교육대상
- 생산기술, 설비보전관리 담당자, 기계설비 담당자, 설비설계업체
- 생산, 기술, 공무, 설계, 자동화 관련 부서의 기술자 및 관리자
- 설비 운전·정비 관리 담당자, 생산설비/제조부문 오퍼레이터·감독자 등
▶교육특징
1. TPM 자주보전, 계획보전, 개별개선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핵심사항의 이해 유도
2. 공압의 기초지식이 없는 상태에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강의
3. 보전의 포인트를 추출한 제조현장에서 꼬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
▶교육내용
- 기능교육훈련의 추진체계 및 필요성
- 공압의 핵심 원리 및 기초지식
- 공압회로의 핵심 원리 및 기본기술
- 공기압축기의 핵심 원리 및 기초지식의 이해
- 배관 및 제어밸브의 핵심에 대한 이해
- 공압 3점세틀의 핵심 원리 및 기본기술
- 공압보조기기의 핵심 원리 및 기본기술
- 공압장치의 트러블슈팅, 점검의 핵심사항
- 공압장치의 정비 및 보전금기 핵심기술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기계장치 보전 47분
2. 2. 기계요소 보전 33분
3. 3. 동력전달 보전 32분
4. 4. 상태감시 원리 13분
5. 5. 상태감시 방법 26분
6. 6. 상태감시 활동 설정절차 13분
7. 7. 설비유지관리 절차와 목적 18분
8. 8. 설비점검과 정비 7분
9. 9. 설비등급별 점검주기 23분
10. 1. 유공압 이론 26분
11. 2. 유공압 개론(1) 29분
12. 3. 유공압 개론(2) 22분
13. 4. 유공압 개론(3) 22분
14. 5. 유공압 개론(4) 35분
15. 7. 액추에이터 (1) 29분
16. 8. 액추에이터 (2) 21분
17. 9. 액추에이터 및 배관 및 배관부품 16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