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현장에서의 설비 고장의 원인이 되는 각종 파라메터의 이해 및 설비진단기법을 이해하고, 진단 기법을 통해 사전 고장 예측 하여 현장 설비 점검 능력 배양
* 기존 설비관리 운영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해결방법을 습득하고 종합적인 설비관리 능력 배양 및 설비효율 관리 체계를 정립할 수 있다.
* 제조 설비의 윤활 관리 중요성을 인식하고, 올바른 설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윤활 관리 실무 능력 습득
▶교육대상
- 생산기술, 설비 보전, 관리 담당자, 공무분야 담당자, 기계설비 담당자, 설비설계업체 등
▶주요교육내용
1. TPM 혁신의 필요성
2. 8대 기능 구조와 추진 사례
3. 업무 효율화 개선
4. 자주 안전 추진 방안
5. 설비 종합 효율과 6대 로스
6. 개별 개선 추진 방법과 활용 기법
7. 베어링과 기어 장치 윤활 관리
8. 윤활유의 일반적인 성능·성상
9. 기유(base oil)의 물리적 성질, 첨가제의 역할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전사적 생산보전활동(TPM)의 개요 30분
2. 2. 자주보전의 개념 - 기본개념 정의 30분
3. 3. 자주보전의 개념 - 자주보전 활동 0~7STEP의 정의 30분
4. 4. 0STEP 정리정돈 - 자주보전 정리정돈활동 32분
5. 5. 0STEP 정리정돈 - 자주보전 정리정돈활동 31분
6. 6. 0STEP 정리정돈 - 눈으로 보는 관리 사례 29분
7. 7. 1STEP 초기청소 - 자주보전 초기청소 개요 27분
8. 8. 1STEP 초기청소 - 자주보전 초기청소 주요활동 (1) 32분
9. 9. 1STEP 초기청소 - 자주보전 초기청소 주요활동 (2) 31분
10. 10. 2STEP 발생원곤란개소 대책 - 발생원곤란개소 개선활동 (1) 29분
11. 11. 2STEP 발생원곤란개소 대책 - 발생원곤란개소 개선활동 (2) 29분
12. 12. 3STEP 청소·점검, 급유기준서 - 표준화 활동 28분
13. 13. 3STEP 청소·점검, 급유기준서 - 윤활관리 총론 31분
14. 14. 4STEP 기기 총 점검 28분
15. 15. 5STEP 프로세스 총 점검 29분
16. 16. 6STEP 공정품질보증 및 7STEP 자주관리 28분
17. 17. 윤활유의 개요 21분
18. 18. 윤활선정 및 관리 개요, 필요성 (1) 26분
19. 19. 윤활선정 및 관리 개요, 필요성 (2) 29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