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보전활동의 주요기능과 추진방법, 설비관리의 단계별 추진사례를 통한 자사 설비효율관리의 구축 등 설비의 운전효율방법을 교육과정 과정
▶설비보전관리의 의미를 이해하고, 보전주기 결정과 설비정보관리시스템 운용방법 습득
▶교육대상
- 생산기술, 설비보전관리 담당자, 기계설비 담당자, 설비설계업체
- 생산, 기술, 공무, 설계, 자동화 관련 부서의 기술자 및 관리자
- 설비 운전·정비 관리 담당자, 생산설비/제조부문 오퍼레이터·감독자 등
▶교육내용
1. 설비보전관리이해
- 설비보전관리의 의미와 위치를 이해
- 설비보전관리의 중요성과 목적을 파악
2. 설비보전관리
- 설비보전관리개념
- 설비관리 기준에 의거하여 설비 보전계획 항목을 선정
- 설비별 최적화된 보전주기를 결정
3. 설비보전계획
- 설비관리 기준에 의거하여 설비 보전계획 항목을 선정
- 설비별 최적화된 보전주기를 결정
- 설비보전 계획서 작성
- 설비점검
4. 설비계획보전(예방보전)
- 설비보전계획과 생산계획 확정
- 준비된 필요자원을 활용하여 보전을 실시
- 경제성을 위하여 보수시간 단축과 인력, 비용절감
- 설비계획보전(윤활관리, 개량보전)
5. 설비예지보전
- 설비예지보전,설비신뢰성관리
- 설비의 중요도에 따라 예지보전 대상설비를 선정
- 선정된 설비의 예지보전 관리 대상항목 측정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설비 보전 전략(1) 27분
2. 2. 설비 보전 전략(2) 15분
3. 3. 설비 보전 전략(3) 28분
4. 4. 결합용 기계요소 (1) 18분
5. 5. 결합용 기계요소 (2) 16분
6. 6. 결합용 기계요소 (1) 19분
7. 7. 결합용 기계요소 (2) 16분
8. 8. 축계 기계요소 17분
9. 9. 기계장치의 보전 47분
10. 10. 기계요소의 보전 33분
11. 11. 동력전달 장치의 보전 32분
12. 12. 설비관리 예방보전 14분
13. 13. 설비예지보전 37분
14. 14. 설비 이상징후 감지 10분
15. 15. 예지보전사례 20분
16. 16. 윤활관리기초 1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