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산효율 저해 및 낭비요인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 및 해결방법을 알아보고 TPM 중점 활동의 이해를 통한 생산 능력 배양 및 설비효율관리 체계를 정립할 수 있는 과정이다.
- 자주보전을 위한 실제 현장중심의 Case Study, 다양한 사례를 통해 자주보전 방법을 알아본다.
▶교육대상
- 공장혁신(생산성 향상)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 및 관련부서의 관리자
- 설비의 보전활동을 담담하고 있는 실무자 및 관리자
▶교육내용
1 . 전사적 생산보전활동(TPM)의 개요
2 . 자주보전의 개념 - 기본개념 정의
3 . 자주보전의 개념 - 자주보전 활동 0~7STEP의 정의
4 . 0STEP 정리/정돈 - 자주보전 정리/정돈활동
5 . 0STEP 정리/정돈 - 자주보전 정리/정돈 프로세스
6 . 0STEP 정리/정돈 - 눈으로 보는 관리 사례
7 . 1STEP 초기청소 - 자주보전 초기청소 개요
8 . 1STEP 초기청소 - 자주보전 초기청소 주요활동 (1)
9 . 1STEP 초기청소 - 자주보전 초기청소 주요활동 (2)
10 . 2STEP 발생원/곤란개소 대책 - 발생원/곤란개소 개선활동 (1)
11 . 2STEP 발생원/곤란개소 대책 - 발생원/곤란개소 개선활동 (2)
12 . 3STEP 청소·점검, 급유기준서 - 표준화 활동
13 . 3STEP 청소·점검, 급유기준서 - 윤활관리 총론
14 . 4STEP 기기 총 점검
15 . 5STEP 프로세스 총 점검
16 . 6STEP 공정품질보증 및 7STEP 자주관리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전사적 생산보전활동(TPM)의 개요 30분
2. 2. 자주보전의 개념 - 기본개념 정의 30분
3. 3. 자주보전의 개념 - 자주보전 활동 0~7STEP의 정의 30분
4. 4. 0STEP 정리정돈 - 자주보전 정리정돈활동 32분
5. 5. 0STEP 정리정돈 - 자주보전 정리정돈활동 31분
6. 6. 0STEP 정리정돈 - 눈으로 보는 관리 사례 29분
7. 7. 1STEP 초기청소 - 자주보전 초기청소 개요 27분
8. 8. 1STEP 초기청소 - 자주보전 초기청소 주요활동 (1) 32분
9. 9. 1STEP 초기청소 - 자주보전 초기청소 주요활동 (2) 31분
10. 10. 2STEP 발생원곤란개소 대책 - 발생원곤란개소 개선활동 (1) 29분
11. 11. 2STEP 발생원곤란개소 대책 - 발생원곤란개소 개선활동 (2) 29분
12. 12. 3STEP 청소·점검, 급유기준서 - 표준화 활동 28분
13. 13. 3STEP 청소·점검, 급유기준서 - 윤활관리 총론 31분
14. 14. 4STEP 기기 총 점검 28분
15. 15. 5STEP 프로세스 총 점검 29분
16. 16. 6STEP 공정품질보증 및 7STEP 자주관리 28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