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Needs 변화는 점차 빨라지고, 그에 따른 맞춤형 대응을 위한 품종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맞춰 생산시스템은 정확한 예측에 이은 생산계획과 신속한 통제능력의 중요성 뿐만 아니라 유연성까지 갖춰야만 합니다.
본 과정은 생산관리의 핵심인 생산계획 및 공정관리업무를 이해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업무체계 구축 및 시스템 활용에 이르기까지 더욱 효율적이고 선진화된 생산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학습대상
1. 생산계획, 생산기획, 생산지원 실무자 및 관리학습자
2. 공정관리, 공정혁신 실무자 및 관리학습자
3. 공급망관리(SCM)의 공급관리 실무자 및 관리학습자
4. SCM, ERP 및 MES 정보시스템 구축 실무자 및 관리학습자자
▶학습목차
1. 생산유형 분류 및 특성의 이해
2. 생산 기초 데이터 설정 및 정확도 관리
3. 제조업 업무 프로세스와 수요관리 실무
4. 생산계획 유형, 수립 방법 및 활용
5. 단기 생산계획·스케줄 수립 실무
6. 작업지시 및 생산현황 모니터링 실무
7. 생산진척관리의 조치 및 긴급주문관리
8. 생산성과(지표)관리 실무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생산유형 분류 및 특성의 이해 33분
2. 2. 생산 기초 데이터 설정 및 정확도 관리 32분
3. 3. 제조업 업무 프로세스와 수요관리 실무 32분
4. 4. 생산계획 유형, 수립 방법 및 활용 36분
5. 5. 단기 생산계획·스케줄 수립 실무 29분
6. 6. 작업지시 및 생산현황 모니터링 실무 29분
7. 7. 생산진척관리의 조치 및 긴급주문관리 34분
8. 8. 생산성과(지표)관리 실무 30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