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현장에서 다루고 있는 산업기계는 적기에 점검하고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점검과 보수는 반드시 필요하며, 담당하고 관리되는 설비에 관한 동작 특성은 물론 약점을 파악하고 설비의 각종 트러블 발생 시 해결 능력을 갖춘 기술자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 기계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나사, 베어링, 스프링, 축, 방수(실링)등의 핵심기계요소 설계에 있어서 사용 목적에 적합한 재질 및 사양(spec) 선택, 체결 및 설치(끼워맞춤), 제조기술(공정)의 이해, 역학적 설계를 통해 올바른 설계와 현장적용 기술 향상
* 설비보전, 볼트와 체결, 직접 및 간접전동 장치, 베어링, 축이음, 축정렬, 펌프, 송풍기, 윤활 및 작동유, 밀봉 장치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 배관과 밸브의 기초과정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함으로써, 배관기술과 밸브기술을 쉽게 익히도록 구성
* 배관/배관 개론 및 종류별 특성과 관 이음 및 관 플랜지 데이터, 강관 및 관이음쇠, 밸브의 현장기술과 문제점 진단기술을 습득하는 교육을 다루고 있다.
* 공기조화설비에 대한 기초 지식과 계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등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각각의 설비를 기초부터 상세히 강의 하였으며, 기본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실무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공조설비 관련 현장 실무자가 알아야 할 핵심실무 및 기본공식을 강의
▶교육특징
* 효율적인 설비 점검 체계 구축과 효율적인 운영을 알아본다.
* 설비 관리와 자주 보전의 중요성을 파악한다.
* 고장 제로를 위한 자주 보전의 역할을 알아본다.
* 산업기계의 최적화 및 현장기술자의 활용 능력 배양
* 설비(Utilities)의 최적상태를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설비기술습득
* 공기조화의 기본원리 및 예비지식 함양, 공조계산 설계방법 이해
▶교육대상
- 생산기술, 설비보전관리 담당자, 기계설비 담당자, 설비설계업체
- 생산, 기술, 공무, 설계, 자동화 관련 부서의 기술자 및 관리자
- 설비 운전·정비 관리 담당자, 생산설비/제조부문 오퍼레이터·감독자 등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기계장치의 보전 기초 47분
2. 기계요소의 보전 33분
3. 동력전달 장치의 보전 32분
4. 상태감시 원리 13분
5. 상태감시 방법 26분
6. 상태감시 활동의 설정절차 13분
7. 설비 유지관리 절차와 목적 18분
8. 설비 점검과 정비 7분
9. 설비 등급별 점검주기 결정 23분
10. 1. 공기조화 설계의 기초 이론 Ⅰ 39분
11. 2. 공기조화 설계의 기초 이론 Ⅱ 47분
12. 3. 공기조화 설계의 기초 이론 Ⅲ 4분
13. 4. 공기조화 설계의 기초 이론 Ⅳ 34분
14. 5. 공기조화기 설계 이론 Ⅰ 11분
15. 6. 공기조화기 설계 이론 Ⅱ 47분
16. 7. System 검토 요소, 고장 진단 및 정비 보수 관리 40분
17. 기초지식 56분
18. 배관 54분
19. 배관부속 58분
20. 밸브(Valve), 관지지장치, 보온재 36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