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술은 산업분야에 따라 활용범위와 응용범위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취 급하는 공조냉동기계의 종류, 규모 및 피냉각물의 종류도 다양하다. 이에 따라 냉동 과 공기조화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공정, 기계 및 기술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인 기술인력 배출이 요구되어 이에 대한 자격을 습득하기 위한 과정
▶교육대상
1. 기업 내 공조냉동기계 관련part 실무자
2. 냉동고압가스제조시설, 냉동기제조시설, 냉동기계와 공기조화설비를 운용하는 사업체에서 고압가스 및 냉동기의 제조공정을 관리하거나, 위해(危害)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규정의 시행, 냉동 및 공기조화설비의 시공, 유지, 보수 등에 관한 업무 수행이 필요한 자
3. 기타 직무관련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자
▶학습내용
1. 공기조화 [1] 공기조화의 기초이론
2. 공기조화 [2] 공기의 상태
3. 공기조화 [3] 공기선도, 습공기상태변화, 가습방법
4. 공기조화 [4] 공조장치 내 상태 변화
5. 공기조화 [5] 공조장치 내 상태 변화
6. 공기조화 [6] 공기조화 방식
7. 공기조화 [7] 공기조화 방식
8. 공기조화 [8] 난방 방식, 열원 방식
9. 공기조화 [9] 공조부하 Ⅰ
10. 공기조화 [10] 공조부하 Ⅱ
11. 공기조화 [11] 공기조화기기(송풍기)
12. 공기조화 [12] 공기조화기기(펌프)
13. 공기조화 [13] 공기여과기, 공기냉각기 및 가열코일
14. 공기조화 [14] 가습장치, 에어워셔, 열교환기
15. 공기조화 [15] 클린룸
16. 공기조화 [16] 열원기기, 덕트 및 부속설비
17. 공기조화 [17] 환기설비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