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기술사 요해 심화반은 이해를 바탕으로 답안지 작성의 완성도를 높여가는 과정입니다.
소방기술사 공부 단계는 크게 "이해 ⇒ 정리 ⇒ 암기 ⇒ 쓰기(작성)"입니다.
그 중 이해는 공부의 시작이며 끝으로서 소방기술사 요해는 이해 위주의 강의입니다.
답안지에 쓸 때 왜 배우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십시요. 정확한 저의와 정의에 대한 계속적인 고민이 뒤따를 때 점수는 합격권에 도달해있을 것입니다. 요즘 시험 트렌드는 NFPA입니다. NFPA와 우리와의 다른 점, 우리 설비의 문제점, 요약 등을 중점적으로 준비하시면 됩니다. 분명하게 깨달아 안다는 뜻인 요해! 소방기술사 요해를 도와드립니다. 최신 NFPA와 소방기술사의 깊은 이해, 김정진 기술사가 함께합니다.
▶학습대상
1. 소방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학습자
▶교육내용
1. O.T / Chapter 10. 소화약제로서의 물의 특성
2. Chapter 10. 준비 작동식의 클래퍼 동작 방법
3. Chapter 10. 스프링클러의 소화 시간
4. Chapter 10. NFSC 헤드 선정/설치 기준
5. Chapter 10.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지 장애 및 살수 패턴 장애
6. Chapter 10. 소화설비의 배관 배열 방식
7. Chapter 10. 규약배관방식과 수리 계산 방식 비교
8. Chapter 10. 동압을 고려한 수리계산
9. Chapter 11. 포소화약제의 종류 및 특성
10. Chapter 11. 포소화설비 설치대상 및 적용 설비
11. Chapter 11. 물분무 소화설비 소화원리
12. Chapter 11. 미분무수 적용대상
13. Chapter 11. NFPA 14
14. Chapter 12. 표면화재와 심부화재
15. Chapter 12. 자유유출식 유도1
16. Chapter 12. 이산화탄소 국소방출방식 약제량
17. Chapter 12.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약제량 산정계산식
18. Chapter 12. PBPK
19. Chapter 12. 가스계소화설비의 가스량 불균등 방사 원인
20. Chapter 13. 제연
21. Chapter 13. Hinkley식 유도
22. Chapter 13. 거실 제연설비의 배출량
23. Chapter 13. 건축법상 배연설비
24. Chapter 13. 전실 제연의 개요
25. Chapter 13. 연돌효과에 따른 부속실 풍량 보정
26. Chapter 14.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계
27. Chapter 14. 광센서형 감지기
28. Chapter 14. 공기흡입형 연기 감지기
29. Chapter 14. 가스 누설 경보기
30. Chapter 14. 잔존 능력, 공유경로
31. Chapter 15. 직류회로 전압강하 계산식 유도
32. Chapter 15. 축전지 용량산출 방법
33. Chapter 15. 연료전지의 위험성
34. Chapter 16. 키르히호프의 법칙
35. Chapter 16.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계산문제
36. Chapter 16. 전자파 장해
37. Chapter 16. Thyristor
38. Chapter 16. 절연불량에 의한 발화
39. Chapter 16. 정전기
40. Chapter 17. 성능 위주 설계 개요
41. Chapter 17. 시나리오 적용 기준
42. Chapter 17. 결정론적 모델
43. Chapter 17. 서울시 성능위주설계 심의 가이드라인
44. Chapter 17. HAZOP
45. Chapter 17. 보우타이(Bow-Tie) 리스크 평가
46. Chapter 17. 지수 분포&신뢰성
47. Chapter 18. 복합상영관에서의 화재 시 인명 안전대책
48. Chapter 18. 터널 제연설비
49. Chapter 18. 지진화재
50. 보충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Chapter 9. 소방유체 60분
2. 2. Chapter 9. 물과 공기 43분
3. 3. Chapter 9. 파스칼의 원리 60분
4. 4. Chapter 9. 운동량 방정식 36분
5. 5. 지난주 복습 46분
6. 6. Chapter 9. 유동박리 69분
7. 7. Chapter 9. 축류 43분
8. 8. Chapter 9. 유효흡입수두, 필요흡입수두 13분
9. 9. 지난주 복습 41분
10. 10. Chapter 9. 수격현상 60분
11. 11. Chapter 10. 소화설비의 구성 61분
12. 12. 지난주 복습 70분
13. 13. Chapter 10. 스프링클러설비의 배관 52분
14. 14. Chapter 10. 배관의 부식 56분
15. 15. 지난주 복습 51분
16. 16. Chapter 10. 수계소화설비의 개폐밸브 53분
17. 17. Chapter 10. 압력계 75분
18. 18. Chapter 11.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42분
19. 19. Chapter 11. 스프링클러헤드 기준 (NFSC 103) 49분
20. 20. Chapter 11.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지특성 44분
21. 21. Chapter 11. Skipping 현상 21분
22. 22. 지난주 복습_ Chapter 11. 국내설계방식 (NFSC 103) 33분
23. 23. Chapter 11. NFPA 설계방식 43분
24. 24. Chapter 11. 물분무 소화설비 61분
25. 25. Chapter 11. 드렌처 설비 24분
26. 26. 지난주 복습 61분
27. 27. Chapter 12. 서미스터(Thermistor) 56분
28. 28. Chapter 12. 전압강하 54분
29. 29. Chapter 12. 시퀀스 제어 14분
30. 30. Chapter 1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비구성 28분
31. 31. Chapter 13. NFPA 72 66분
32. 32. Chapter 13. R형 수신기와 중계기 사이 신호처리과정 및 데이터 58분
33. 33. Chapter 13. 복합형 감지기, 보상식 감지기, 다신호식 감지기 26분
34. 34. Chapter 14. 소방전기설비 61분
35. 35. Chapter 14. 음향장치 48분
36. 36. Chapter 14. 시각경보장치 48분
37. 37. Chapter 14. 비상콘센트설비 21분
38. 38. 지난주 복습 42분
39. 39. Chapter 15. 비상전원 25분
40. 40. Chapter 15. 비상전원과 예비전원 43분
41. 41. Chapter 15. 연료전지 19분
42. 42. 지난주 복습 65분
43. 43. Chapter 16. 건축물의 리모델링에 따른 설계에서 준공까지의 절차 52분
44. 44. Chapter 16. VE(Value Engineering) 45분
45. 45. Chapter 18. 일반화재 39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