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과정은 담당자를 위한 실무 위주의 과정으로 우리나라가 더 이상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지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내진설계규정을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소방, 건축 및 유관기관 담당자의 실무위주 교육을 위해 꼭 필요한 내용을 맞춤 과정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교육대상
- 소방 시설 설계, 시공, 감리, 관리 등 관련업 종사자
▶학습내용
1. 지진 개요
2. 한반도의 지진
3. 소방설비의 피해와 내진설계 방향
4. '소방시설 내진설계 기준', 규정과 용어
5. 내진해석 일반
6. [설계실무 1] 수원, 가압송수장치
7. [설계실무 2] 배관
8. [설계실무 3] 흔들림방지 버팀대
9. [설계실무 4] 헤드와 기타 설비
10. 경주지진
11. 건축과 소방
12. [피난 기준의 이해 1] 계단
13. [피난 기준의 이해 2] 출구와 피난안전구역
14. 연소확대 방지계획 이해
15. 제연 1
16. 제연 2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지진 개요 36분
2. 2.한반도의 지진 30분
3. 3.소방설비의 피해와 내진설계 방향 44분
4. 4.'소방시설 내진설계 기준', 규정과 용어 27분
5. 5.내진해석 일반 33분
6. 6.[설계실무 1] 수원, 가압송수장치 18분
7. 7.[설계실무 2] 배관 24분
8. 8.[설계실무 3] 흔들림방지 버팀대 24분
9. 9.[설계실무 4] 헤드와 기타 설비 33분
10. 10.경주지진 40분
11. 11.건축과 소방 31분
12. 12.[피난 기준의 이해 1] 계단 19분
13. 13.[피난 기준의 이해 2] 출구와 피난안전구역 36분
14. 14.연소확대 방지계획 이해 21분
15. 15.제연 1 27분
16. 16.제연 2 34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