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산활동 및 지원활동 과정에서 내재된 산업재해 발생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평가하여 위험을 관리하는 업무에 활용한다.
* 위험성 평가기법 및 사례를 통한 건설현장 위험물질의 유해성과 위험성을 파악하여 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관리 기준을 조사하여 파악 관리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 사업장내 안전보건조치를 지속적으로 유해․위험요인을 발굴․개선하는 종합적인 위험관리 활동을 알아본다.
* 사업장 특성에 맞는 개선대책 수립이 가능하고, 근로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안전보건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교육대상
1. 사업장 안전관리자(건설담당), 환경관리인, 방폭설비 제작 및 시공업체, 소방 및 방폭설비 관련 연구소, 대학(원)생 등
▶주요교육내용
▪ 위험성평가 이론
▪ 위험성평가의 현장활용
▪ 산업안전 일반
▪ 용어, 정의, 목적, 기법, 진행
▪ 현장의 위험성평가 수행방법 및 활용
▪ 위험성평가 활용사례
▪ 위험성평가 실무
▪ 건설사에서의 위험성평가 수행방법 및 활용
▪ 위험요인 도출방법 습득
▪ 위험평가서 작성실무 및 분석기법
▪ 무재해 운동, 아차사고 예방
▪ 위험성평가의 현장적용 실무 습득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산업안전 일반사항 (1) 30분
2. 2. 산업안전 일반사항 (2) 33분
3. 3. 무재해운동 31분
4. 4. 아차사고 예방 22분
5. 5. 위험성평가 이론 및 해설 (1) 19분
6. 6. 위험성평가 이론 및 해설 (2) 46분
7. 7. 위험성평가 이론 및 해설 (3) 12분
8. 8. 위험성평가 이론 및 해설 (4) 41분
9. 9. 실습 - 안전보건 목표 및 추진계획 설정 24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