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나사, 베어링, 스프링, 축, 방수(실링)등의 핵심기계요소 설계에 있어서 사용 목적에 적합한 재질 및 사양(spec) 선택, 체결 및 설치(끼워맞춤), 제조기술(공정)의 이해, 역학적 설계를 통해 올바른 설계와 현장적용 기술 향상
* 베어링의 올바른 선택과 취급 방법을 통해 설비 고장과 성능 저하 방지.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하여 설비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배양
펌프의 설계와 운영에 필요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립한 강의로 폐수로 및 개수로 흐름의 분석에 필요한 유체역학 기초지식, 펌프의 기초 이론과 승압원리, 원심펌프의 성능, 가변펌프에 대한 기본 이론 및 실무에 필요한 지식, 수충격 해석, 펌프 특성 곡선 등에 대해 실무에 필요한 부분을 자세하게 전달
* 기계에 올바른 윤활을 행하여, 윤활상의 고장이 없게 하고, 기계나 설비의 완전운전을 보장하며,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비의 절감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현장의 관리업무 습득
* 제조 설비의 윤활 관리 중요성을 인식하고, 올바른 설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윤활 관리 실무 능력 습득
▶교육대상
- 설비 보전, 공무 담당자, 진동 관리자, 전동기 운영 기술자, 설비 진단 실무자, 설비설계업계 등
- 제조 공무 기술 부문 핵심 사원, 보전 부문 추진 담당자, 직무 전환자
- 설비 운전·정비 관리 담당자, 생산설비/제조부문 오퍼레이터·감독자 등
▶주요교육내용
▪ 기계제도 상태진단 및 보전기술
▪ 나사, 볼트와 너트 진단 및 보전기술
▪ 키이 진단 및 보전기술
▪ 커플링 진단 및 보전기술
▪ 기어, 감속기 진단 및 보전기술
▪ 밸트 진단 및 보전기술
▪ 베어링 진단 및 보전기술
▪ 베어링 최적 설계 선정 핵심 실무 기술
▪ 현장 취급 및 정비
▪ 베어링의 파손 고장과 현장 트러블 대책
▪ 펌프의 기초지식과 응용
▪ 펌프의 유지보수 보전 관리 기술
▪ 펌프의 고장진단과 대책
▪ 펌프진동의 원인, 현상 및 대책
▪ 산업설비의 적정윤활유 선정기술 및 윤활관리와 보전기술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기계장치의 보전 기초 47분
2. 기계요소의 보전 33분
3. 동력전달 장치의 보전 32분
4. 상태감시 원리 13분
5. 상태감시 방법 26분
6. 상태감시 활동의 설정절차 13분
7. 설비 유지관리 절차와 목적 18분
8. 설비 점검과 정비 7분
9. 설비 등급별 점검주기 결정 23분
10. 1. 펌프의 정의 및 펌프의 분류(1) 39분
11. 2. 펌프의 정의 및 펌프의 분류(2) 49분
12. 3. 펌프의 사용되는 용어의 이해 27분
13. 4. 펌프의 선정기술 22분
14. 5. 펌프의 운전특성과 문제점 대책 26분
15. 6. 펌프의 설치 및 운전 13분
16. 7. 펌프의 고장진단과 대책 30분
17. 8. 펌프의 진동 원인 및 현상과 대책 18분
18. 1. 베어링의 종류 및 특징 19분
19. 2. 베어링 손상의 종류 36분
20. 3. 사례별 결함 대책 및 대응방법 29분
21. 4. 베어링 고장의 순서 50분
22. 5. 진동 진단 및 분석 27분
23. 6. 저어널 베어링의 이해 11분
24. 1. 윤활유 개요 및 윤활유 첨가제의 중요 성분 43분
25. 2. 윤활 선정 및 관리개요 및 필요성 4분
26. 3. 윤활 기술 방법/보전, 시험항목별 이해 19분
27. 4. 유종 별 시험성적서의 사례 및 분석 방법 4분
28. 5. 윤활유의 열화 원인 및 대책 , 사례 분석과 그리스 시험성적서의 적용 사례 84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