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신제품이나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해서 고객에게 판매해서 수익을 얻는다. 이때 최종판매가격에 대비해서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부분이 바로 부품, 자재, 원재료, 가공품, 반제품들의 구매이다. 이 구매를 잘 하면 기업체가 가장 많은 이익을 낼 수 있다는 관점에서 글로벌 선두기업들이 구매관리를 최고경영의 핵심으로 보고 구매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본 과정은 구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인 구매 전략, 추진을 위해 현대 구매관리에 대한 개념과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대상
- 원가 및 자재 관련 부서, 구매 관련 부서에 근무하는 직장인(사원~관리자급)
- 구매관리에 관심이 있는 직장인 및 수익 창출을 고민하는 직장인 (전 사원)
▶학습내용
1. 구매관리의 기본개념
2. 구매수요예측의 정의 및 정성적 예측기법
3. 구매수요예측의 정량적 예측기법 및 예측기법의 선정
4. 자재관리를 위한 자재소요량계획
5. 기업의 통합 정보시스템, 전사적자원관리
6. 판매가격관리에 적합한 전략적 구매원가관리
7. 구매조달관리 및 공급업체 선정
8. 구매조달관리기법 및 검수출고관리
9. 전략적 구매를 위한 공급자관계관리
10. 상호 이득을 위한 구매협상
11. 재고관리의 개념 및 독립수요의 재고관리
12. 재고 관련 의사결정을 위한 재고관리모형
13. 재고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14.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시생산시스템
15. 구매와 개발의 공유적 협업과 공급사슬관리
16. 정보기술을 통한 구매와 개발의 협업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구매관리의 기본개념 26분
2. 2. 구매수요예측의 정의 및 정성적 예측기법 30분
3. 3. 구매수요예측의 정량적 예측기법 및 예측기법의 선정 41분
4. 4. 자재관리를 위한 자재소요량계획 35분
5. 5. 기업의 통합 정보시스템, 전사적자원관리 40분
6. 6. 판매가격관리에 적합한 전략적 구매원가관리 32분
7. 7. 구매조달관리 및 공급업체 선정 39분
8. 8. 구매조달관리기법 및 검수출고관리 32분
9. 9. 전략적 구매를 위한 공급자관계관리 38분
10. 10. 상호 이득을 위한 구매협상 38분
11. 11. 재고관리의 개념 및 독립수요의 재고관리 32분
12. 12. 재고 관련 의사결정을 위한 재고관리모형 30분
13. 13. 재고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 28분
14. 14.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시생산시스템 37분
15. 15. 구매와 개발의 공유적 협업과 공급사슬관리 39분
16. 16. 정보기술을 통한 구매와 개발의 협업 31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