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성을 꿈꾸는 디지털 건축가의 인문학적 시선
지난 24년간 편성된 국가 R&D 예산, 300조 원. 어마어마한 금액을 연구개발에 쏟아부었음에도 여전히 그 성과가 미약한 이유는 무엇일까? 디지털건축가 이순석 박사는 이제 고민 없는 기술 개발은 멈추고, 새로운 세상으로 나아가야 할 때라고 말한다.
본 과정에서는 궁리하고 꾀를 내는 논리적 판짜기 능력, 공학이 필요한 시간에 대해 <공학의 시간>의 저자 이순석 박사 인터뷰를 통해 알아본다.
▶도서 무료제공
- 도서명: 공학의 시간
▶교육대상
1. 혁신을 읽고 미래를 설계하는 ‘공학’이 알고 싶은 직장인
▶교육내용
1. 새로운 세상이 온다
2. 싱귤래리티와 인간의 진화
3. 기술과 공학의 차이점
4. 공학적 접근의 필요성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