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이 고도화, 첨단화, 대형화되면서 대규모 석유 화학공장 및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대형사업장에서 수많은 가연성 화학물질과 위험물을 취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폭발사고가 과거와 다르게 대규모로 발생하고 인적·물적피해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런 화재·폭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재·폭발에 대한 연소공학, 방폭 공학 등 연관된 공학적 이론과 화재·폭발 방지 제어 기술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고 위험성에 대한 과학적 리스크 평가를 할 필요가 있다.
▶교육대상
1. 생산기술, 설비보전관리 담당자, 기계설비 담당자, 설비설계업체
2. 생산, 기술, 공무, 설계, 자동화 관련 부서의 기술자 및 관리자
3. 설비 운전·정비 관리 담당자, 생산설비/제조부문 오퍼레이터·감독자 등
▶교육내용
1. 화학공정의 특징과 연소 용어의 정의
2. 연소 생성물과 화재방지 대책
3. 열역학 법칙의 이해
4.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이해
5. 주요 화학설비 작업 시 안전대책과 사고사례
6. 화재 및 폭발이론 1
7. 화재 및 폭발이론 2
8. 화학공정의 화재·폭발 방호설비
9. 방폭구조설비 및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10. 방폭전기설비 적용 사례 및 화재·폭발사고 종합 안전대책
11. 화재 및 폭발사고 예방 제도(PSM_공정안전관리)
12. 화학사고 예방 제도(화학사고에방관리계획서)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열역학 및 열과 온도의 정의 9분
2. 2. 열량의 단위 30분
3. 3. 열량의 단위 및 열량계산 14분
4. 4. 강도성질(1) 18분
5. 5. 강도성질(2) 21분
6. 6. 압력, 상태와 성질, 계와 동작물질 30분
7. 7.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31분
8. 8. 열역학 제 법칙 22분
9. 9. 일과 열 23분
10. 10. 열역학 제 1법칙 29분
11. 1. 폭발의 용어 64분
12. 2. 폭발의 분류 52분
13. 3. 폭발방호대책 21분
14. 4. 불활성화와 불황성화 방법 44분
15. 5. 방폭설비 29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