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와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 기업은 재무성과 뿐만 아니라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같은 비재무 성과관리가 필요해진 상황이다. 더이상 트렌드가 아닌 필수 비즈니스 모델이 된 ESG 경영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ESG 기본 용어 및 사례를 기반으로 ESG 경영의 실천 전략까지 살펴볼 수 있는 과정이다.
▶교육대상
1. ESG에 입문하고 싶은 임직원
2. ESG 관련 부서 실무자
3. ESG 경영 추진전략 의사결정자자
▶주요교육내용
1. ESG경영의 짧지만 긴 역사
2. ESG 경영 체계 구축
3. 정보공개,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4. ESG 맛집이 되자!
5. 저탄소 순환경제 시대 본격화
6. 환경 분야 이니셔티브와 RE100
7. ESG가 촉진하는 사업 재편
8. 혁신기술 - 수소와 CCUS
9. CSR과 ESG는 뭐가 다를까?
10. 이제는 순환경제 시대
11. ESG가 바꾼 소비 트렌드
12. 유럽 중심으로 확산하는 공급망실사법
13. 변화하는 이사회의 모습
14. '착한 기업' 투자는 왜 대세가 됐나
15. ESG 공시와 녹색채권의 세계
16. ESG가 비즈니스 모델이 된 스타트업
▶수료기준
항목 |
진도율 |
진행단계평가 |
최종평가 |
과제 |
수료점수 |
평가비율 |
100% |
0% |
0% |
0% |
60점이상 |
수료조건 |
80% |
없음 |
없음 |
없음 |
※ 수료기준은 각 평가항목의 점수가 수료기준 점수 이상이고 총점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1. 1. ESG경영의 짧지만 긴 역사 23분
2. 2. ESG 경영 체계 구축 18분
3. 3. 정보공개,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18분
4. 4. ESG 맛집이 되자! 18분
5. 5. 저탄소 순환경제 시대 본격화 23분
6. 6. 환경 분야 이니셔티브와 RE100 21분
7. 7. ESG가 촉진하는 사업 재편 20분
8. 8. 혁신기술 - 수소와 CCUS 20분
9. 9. CSR과 ESG는 뭐가 다를까 7분
10. 10. 이제는 순환경제 시대 9분
11. 11. ESG가 바꾼 소비 트렌드 8분
12. 12. 유럽 중심으로 확산하는 공급망실사법 8분
13. 13. 변화하는 이사회의 모습 8분
14. 14. '착한 기업' 투자는 왜 대세가 됐나 11분
15. 15. ESG 공시와 녹색채권의 세계 13분
16. 16. ESG가 비즈니스 모델이 된 스타트업 9분